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골프 피팅 관점에서 본 드라이버 훅 해결책

by 스골모7942 2025. 11. 17.
반응형

드라이버 훅은 단순히 스윙 문제로만 발생하는 것이 아닙니다. 장비의 밸런스와 스펙이 자신에게 맞지 않으면, 아무리 좋은 스윙을 해도 훅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특히 드라이버의 로프트, 라이각, 샤프트 강도, 토크 수치 등은 임팩트 시 클럽페이스가 닫히거나 열리는 데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이번 글에서는 골프 피팅 전문가의 시각에서 드라이버 훅이 나는 근본적인 장비 원인을 분석하고, 자신에게 맞는 피팅을 통해 훅을 해결하는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합니다.

남자 아마추어 골퍼 드라이버 훅으로 날아가는 모습

 

 

장비 피팅이 훅에 미치는 영향입니다

많은 골퍼들이 훅이 나면 손목이나 스윙 궤도만 문제로 생각하지만, 실제로는 클럽의 물리적 특성이 훅의 빈도와 강도를 결정합니다. 피팅 전문가들은 훅이 자주 나는 골퍼의 공통점을 ‘클럽의 밸런스 불일치’에서 찾습니다.

첫째,  로프트 각도(Loft Angle) 로프트가 너무 낮으면 공의 스핀량이 줄어들고, 페이스가 살짝만 닫혀도 공이 크게 감깁니다. 예를 들어, 9도 이하의 로프트를 사용하는 골퍼가 헤드 스피드가 높지 않다면 훅이 쉽게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10.5도 이상의 드라이버로 교체하면 스핀량이 늘어나고, 궤적이 안정되어 훅이 줄어듭니다.

둘째,  라이각(Lie Angle) 라이각이 너무 서 있으면(업라이트) 임팩트 시 페이스가 왼쪽을 향하게 됩니다. 반대로 플랫 하게 세팅하면 페이스가 열리면서 슬라이스가 유도됩니다. 훅이 심한 골퍼는 1~2도 플랫 한 라이 세팅으로 바꿔주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이는 임팩트 시 클럽헤드가 지면과 평행하게 유지되어, 불필요한 닫힘 현상을 방지합니다.

셋째, 샤프트 강도와 토크(Torque) 샤프트가 너무 부드럽거나 토크 수치가 높을 경우, 임팩트 순간 클럽헤드가 뒤처지면서 과도하게 닫히는 경향이 있습니다. 반대로 너무 강한 샤프트는 페이스를 제대로 닫지 못해 슬라이스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피팅 전문가들은 훅이 나는 골퍼에게 토크 3.0 이하, 강도 S 또는 SR급 샤프트를 권장합니다.

넷째, 헤드 밸런스와 무게 중심(CG) 무게 중심이 힐 쪽(Heel-biased)으로 이동된 드라이버는 자연스럽게 페이스가 닫히는 특성이 있습니다. 훅이 심한 골퍼는 페이스 밸런스가 중앙 혹은 토우 쪽으로 맞춰진 모델을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훅을 줄이는 피팅 세팅 전략입니다

올바른 장비 피팅을 통해 훅을 줄이려면, 아래와 같은 단계별 접근이 필요합니다.

첫째, 자신의 스윙 데이터 확인하기 피팅을 시작하기 전에, 트랙맨(TrackMan)이나 GC쿼드 같은 스윙 분석기를 통해 스윙 궤도, 클럽 패스, 페이스 앵글 데이터를 확인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클럽 패스가 +3도(인사이드 아웃), 페이스 앵글이 -2도(닫힘)이라면 전형적인 훅 구질입니다.

둘째, 로프트 재조정으로 구질 안정화 스윙 스피드가 90 mph 이하인 골퍼가 9도 로프트를 사용하면 훅 구질이 강해집니다. 이럴 경우 로프트를 10.5도~11.5도로 높여, 공의 회전량을 늘리고 페이스의 닫힘 타이밍을 늦출 수 있습니다.

셋째, 샤프트 토크 및 강도 점검 피팅 전문가들은 훅이 잦은 골퍼에게 낮은 토크(2.5~3.0)와 중간 강도(SR~S) 샤프트를 권장합니다. 이는 클럽페이스의 비틀림을 억제하여 페이스 안정성을 높여줍니다. 또한 샤프트의 킥 포인트(Kick Point)를 미들(Mid) 또는 하이(High)로 설정하면 임팩트 시 페이스 닫힘이 완화됩니다.

넷째, 헤드 페이스 밸런스 변경 일부 드라이버는 힐 쪽에 무게를 두어 페이스를 쉽게 닫히게 설계되어 있습니다. 훅이 나는 골퍼는 중앙 또는 토우 쪽 무게 중심 설정이 가능한 조절형(Adjustable) 드라이버를 선택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테일러메이드 스텔스, 캘러웨이 패러다임 같은 모델은 슬라이더 웨이트를 활용해 무게 중심을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습니다.

다섯째, 라이각 플랫 조정 라이각을 1~2도 플랫 하게 세팅하면 임팩트 시 페이스가 닫히는 경향이 줄어듭니다. 단, 너무 플랫 하게 만들면 슬라이스 위험이 있으므로, 전문 피터와 함께 테스트를 통해 최적 각도를 찾아야 합니다.

 

피팅 후 유지관리 및 실전 적용법입니다

장비 피팅을 통해 훅이 완화되었다면, 이를 유지하기 위한 관리와 연습도 중요합니다.

1) 정기적인 피팅 점검 스윙 템포나 체력 변화에 따라 샤프트 강도나 밸런스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최소 6개월~1년에 한 번은 피팅센터에서 장비 상태를 점검하세요. 헤드 무게나 그립 마모 상태도 페이스 닫힘 타이밍에 영향을 줍니다.

2) 실전 셋업 조정 피팅 후에도 훅이 남는다면, 어드레스에서 페이스를 살짝 오픈하고 공의 위치를 약간 중앙 쪽으로 이동해 보세요. 피팅 효과와 셋업 변화가 함께 작용하면 훅을 안정적으로 제어할 수 있습니다.

3) 샷 모니터링 루틴 연습 때마다 임팩트 구간에서 클럽페이스가 어디를 향하고 있는지 의식하는 루틴을 만드세요. ‘페이스 컨트롤 감각’을 키우면, 피팅 장비의 효과를 더욱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드라이버 훅은 단순히 스윙 폼으로만 해결되는 문제가 아닙니다. 자신의 장비 피팅 상태를 정확히 이해하고 조정할 때, 진정한 해결이 가능합니다. 로프트, 샤프트, 토크, 라이각, 무게 중심의 조화가 완벽할 때 비로소 페이스는 자연스럽게 스퀘어로 유지됩니다. 올바른 피팅은 단순한 장비 튜닝이 아니라, 당신의 스윙을 보완하는 ‘맞춤 해법’입니다. 꾸준히 피팅 데이터를 점검하고, 자신의 스윙 패턴에 맞는 최적의 세팅을 찾아보세요.

 

반응형